■ 진행 : 김영수 앵커, 조예진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철진 경제 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더뉴스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유가가 계속 오르면서 브렌트유가 배럴당 100달러 선에 근접하면서 주요국이 물가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. 물론 내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크지만, 물가 압력에 연내에 추가로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주가 전망과 함께 자세하게 들어보겠습니다. 정철진 평론가와 말씀 나눠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국제유가 오르면 당장 우리 휘발유 가격도 따라서 금방 오르잖아요. 그런데 국제유가가 지금 100달러에 육박했다는데 100달러 돌파할 것 같습니까?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현재로서는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. 보통 유가의 결정은 수요 쪽, 공급 쪽, 그다음에 투자 쪽을 볼 수 있을 텐데요. <br /> <br />현재 세 가지 사안 모두 상방을 가리키고 있습니다. 현재 유가가 여기까지 튀어오르게 된 것, 최근에 석 달 동안 30%가 오르게 된 이유는 공급 쪽에서 찾을 수 있을 텐데요. 산유국들이, 여러분들도 아실 테지만 지금 엄청난 감산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저 그래픽 잠깐 설명을 시청자 여러분께 드리겠습니다. 이게 작년 10월에 92달러였고 지금 90달러, 그리고 작년 11월에 98달러, 또 어제 93달러. 지금 위에 것이 서부텍사스중질유 선물 가격이고요. 밑의 것이 브렌트유 선물가격입니다. 보면 거의 1년 전 수준으로 돌아가고 있는 겁니다. 그렇다면 유가가 조금 떨어졌다가 다시 오르는 가장 큰 근본적인 이유, 설명을 좀 더 해 주세요. <br /> <br />[정철진] <br />세 가지 파트로 나눠볼 텐데 가장 큰 이유는 역시 공급 쪽입니다. 현재 산유국들, 특히 러시아 모두 감산을 결정하고 있고요. 이 감산이 쉽게 끝날 것으로 보이지 않고 여차하면 감산의 폭도 더 커질 수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 그 이유는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이제 석유 시대의 종말이 오잖아요. 우리가 써봐야 2050년이지만, 2030년 이후에는 내연차를 아예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그래서 산유국들이 오히려 비싸게 팔겠다는 의지가 많이 들어간 것이고요. <br /> <br />수요 쪽은 실은 별거 없었는데 최근에 중국이 일단 바닥은 지났다. 그러면 중국이 다시 힘을 내면 나 기름 좀 쓸게 하면 수요 쪽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92014300531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